본문 바로가기
일상/컴퓨터활용능력

컴퓨터활용능력]20200229 1과

by EXIT_40 2021. 11. 27.
반응형

1. FLAC

MP3처럼 오디오 파일을 저장하는 파일 형식, MP3는 사람이 듣지 못하는 주파수 영역의 소리를 삭제하여 파일 용량을 줄이고, FLAC는 원 음원을 지우지 않고 파일만 압축해 용량을 줄인다. 따라서 원본 오디오와 비교하여 음원의 손실이 없다는 것이 FLAC의 장점이다.

 

2. AIFF

비압축 무손실 압축 포맷으로, Mac OS에서 표준으로 사용되는 오디오 파일 형식, 개인용 컴퓨터와 기타 오디오 전자 장비에서 소리를 저장하는 오디오 파일 형식.

 

3. H.264 

최근 비디오 코덱 가운데 매우 활발히 사용되며 주목받는 H.264는 고선명 비디오의 녹화, 압축, 배포를 위한 가장 일반적인 포맷으로 매우 높은 데이터 압축 효율을 자랑한다.

 

화질 향상 겸 H.263의 두 배의 압축률을 가지는 것으로 목표로 개발되었고, 실제로 두 배에 가까운 효율을 구현한다. H.262와 H.263 모두를 대체할 만한 코덱으로, 압축률도 좋을뿐더러 비교적 낮은 비트레이트에서도 좋은 화질을 가진다.

 

H.264/MPEG-4 Part 10(AVC)에서는 VCD 1장에 담을 수 있는 압축 효율

 

4. WAV

MS 사의 기본 오디오 파일 형식으로, 낮은 레벨의 모노에서 CD 스테레오까지 저장할 수 있음.

아날로그 형태의 소리를 디지털 형태로 변형하는 샘플링 과정을 통하여 작성된 데이터임

실제 소리가 저장되어 재생이 쉽지만 용량이 큼.

 

멀티미디어는 크게 보면 선형과 비선형으로 나눌 수 있다.

1. 선형 콘텐츠

영화 화면 표현과 같은 탐색 제어 없이 진행된다.


2. 비선형 콘텐츠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제공하여 컴퓨터 게임이나 컴퓨터 기반 훈련을 사용하여 진행 상황을 제어할 수 있다. 비선형 콘텐츠는 또한 하이퍼미디어(하이퍼미디어는 하나의 특별한 멀티미디어 응용을 가리킴) 콘텐츠로도 알려져 있다.

 

3. VR 콘텐츠

VR(Virtual Reality) 콘텐츠는 사용자가 가상 환경 속에서 살아 있고, 움직임을 자유롭게 경험하는 ‘자율성’, 가상으로 만들어진 공간 속에서 다른 사용자, 콘텐츠와 상호작용을 하는 ‘상호작용성’, 가상공간 속에서도 실제와 같이 시간이 흘러 공간 구조 자체에 가치를 느끼는 ‘임장성’ 등 3가지 요소를 포함해야 한다.

 

4. 4D 콘텐츠

4D 기술이란 3D 입체영상(Stereoscopic 3D)과 함께 물리적 효과 (physical effects; 물방울 분사, 객석의 진동 및 움직임, 섬광 조명, 냄새 발산 등)를 제공함으로써 영화 관람객이나 놀이공원 이용자의 실감을 더해주는 기술을 지칭함. 3D에 하나의 기술이 더해졌다는 의미에서(3D+1D) 4D로 부르고 있으며, 이는 기술적인 용어라기보다는 일종의 마케팅적 용어임

비밀키 암호화 기법의 안정성은 키의 길이 및 키의 비밀성 유지 여부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여러 대의 장비를 이용하여 대량의 데이터를 한곳의 서버에 집중적으로 전송함으로써 특정 서버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는 것

통신망의 종류에는 LAN, WLAN, VAN, ISDN, B-ISDN, WLL, IMT-2000, ADSL, VDSL, VoIP 등이 있습니다.

 

1. LAN(근거리 통신망)

LAN(Local Area Network)은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소수의 장치들을 서로 연결한 네트워크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사무실, 하나 또는 몇 개의 인접한 건물을 연결한 네트워크를 말한다.

 

2. WLAN(무선 근거리 통신망)

무선접속장치(Access Point)가 설치된 곳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안에서 초고속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망(LAN)

 

현재 고속 무선 LAN은 2.4 GHz이며 무선 LAN은 케이블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설치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무선 전송방식에는 CDMA, TDMA, 적외선 방식이 있다.

 

3. VAN(부각가치 통신망)

한국통신(현 KT)과 같은 회선을 소유하는 사업자로부터 통신회선을 빌려 독자적인 통신망을 구성하고, 거기에 고도의 통신서비스를 부가하여 새롭게 구성한 통신망을 지칭한다. 

 

4. ISDN(종합정보 통신망)

디지털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문자·영상 등의 통신을 종합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서비스이다.

 

5. B-ISDN(광대역 종합정보 통신망)

종합정보통신망(ISDN) 보다 더 광범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이다. 음성통신 및 고속 데이터 통신, 정지화상 및 고해상도의 동영상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6. WLL(무선 가입자 회선)

WLL(Wireless Local Loop)은 가정이나 사무실에 설치된 각종 통신단말기들을 전화국과 무선으로 연결해 음성과 팩시밀리 화상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전화망이다. 전화코드를 꽂지 않고도 통신기기를 이용할 수 있는 첨단통신망이다.

7. IMT-2000

국가별로 개별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이동전화 시스템의 규격을 통일하여 세계 어느 지역에서도 하나의 단말기 또는 사용자 접속카드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제3세대 이동통신서비스로, 우리나라에서는 2002년 상용화됨

 

8. ADSL(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선)

기존의 전화선을 이용하여 컴퓨터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게 하는 통신수단이다. 별도의 회선을 설치하지 않고도 기존에 사용하던 전화선으로 통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9. VDSL(초고속 디지털 가입자 회선)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ADSL에 이어 등장한 초고속 디지털 전송기술의 하나로, 일반적인 가입자 전화선을 이용해 양방향으로 빠른 속도로 많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의미함

 

최대 52Mbps, 상향 시 최대 2.3 M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망

 

10. VoIP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음성'의 약어로, 음성 신호를 압축하여 IP를 사용하는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는 방법

이 방식으로 전화사용 시 시내전화 요금 수준으로 시외 및 국제전화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음(인터넷 IP 기술을 사용한 디지털 음성 전송 기술임)

 

원거리 통화 시 PSTN보다는 요금이 높지만 일정 수준의 통화 품질이 보장되며 음성을 패킷 형태로 전송한다.

 

보컬텍(VocalTec) 사의 인터넷폰으로 처음 소개되었으며, PC to PC, PC to Phone, Phone to Phone 방식으로 발전하였다.

 

1. 데이터 웨어하우스(Data Warehouse)

데이터베이스의 모임, 데이터를 사용하기에 적절하게 변환해 축적한 것

 

2.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추출하는 것, 대량의 데이터 안에서 일정한 패턴을 찾아내고, 정보를 추출하는 것

 

3. 데이터 마이그레이션(Data Migration)

데이터를 적절히 이동 배치, 데이터를 서버 이전과 같이 요구에 따라 이동하는 것

 

4. 메타데이터(Metadata)

필요에 따라 가공된 데이터,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어떤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네트워크 프로토콜(Protocal)

서로 통신하는 프로세서들 사이에 교환되는 메시지 형태나 내용들에 관한 관례를 말하기도 하며, 컴퓨터 간의 메시지 흐름을 통제한 기본적인 절차나 규칙을 가리킨다.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컴퓨터들 간에 정보 교환을 할 수 있게 해주는 통신 규약

 

1. 흐름 제어

통신망에 흐르는 패킷 수를 조절하는 등의 흐름 제어(Flow control) 기능

 

2. 동기화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송, 수신기가 같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동기화 기능을 수행함

 

3. 에러 제어 및 검출

데이터의 전송 도중에 발생하는 오류를 검출한다.

 

1. Ping

원격 컴퓨터가 현재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서비스.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에서 다른 호스트 컴퓨터에 IP 데이터그램을 전송하여 정상적으로 도착하면 해당 컴퓨터는 올바르게 작동하는 것으로 간주

보통 루프백 주소를 이용하지만 기본 게이트웨이, DNS 서버, 원격 호스트 등의 IP 주소를 이용 하기도 함

실행하려면 명령 프롬프트에 Ping 명령과 함께 테스트할 IP 주소를 입력함

현재 자신의 컴퓨터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의 IP 주소나 포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2. Ipconfig

명령 프롬프트에 'ipconfig'를 입력하면 현재 컴퓨터의 물리적(MAC) 주소,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등을 표시해 줌

 

3. Tracert

상대방 컴퓨터까지 연결되는 경로를 IP로 표시해주는 명령어

IP 주소, 목적지까지 거치는 경로의 수, 각 구간 사이의 데이터 왕복 속도 등을 표시해 줌

네트워크 속도가 느려지거나 특정 사이트가 열리지 않을 때 무엇이 문제인지 표시해 줌

 

4. Netstate

현재 자신의 컴퓨터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의 IP 주소나 포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네트워크 프로토콜 통계를 위한 네트워크 연결을 보여주는 명령 줄 도구이다.

네트워크의 문제를 찾아내고 성능 측정으로서 네트워크 상의 트래픽의 양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IPv6

16비트씩 8 부분으로 총 128비트로 구성된다.

IPv6 주소는 128비트 주소를 16진수로 표현되며 16비트씩 콜론(:)으로 구분함

주소체계는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로 나누어진다.

실시간 흐름 제어로 향상된 멀티미디어 기능을 지원한다.

객체 지향 언어 종류는 C++, 자바 등이 있으며 상속형, 캡슐화, 추상화, 다형성 등 특징을 지원하며 코드의 재사용과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재사용 가능한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음

 

객체를 중심으로 한 프로그래밍 기법, 객체라는 단위를 이용하여 현실세계에 가까운 방식으로 프로그래밍하므로, 이해하기 쉽고, 조작하기 쉬운 프로그램을 개발 가능하며 코드의 재사용과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반대되는 개념으로 절차적 프로그램(구조적 프로그램)이 있는데 순차적인 처리가 중요하여 구조와 절차에 중점을 두고 작업함, Basic은 대표적인 인터프리터 방식으로 절차적 프로그램에 해당

 

1. ASCII 코드

 

데이터 통신용으로 사용하며, 표준 ASCII(7비트, 128개 문자), 확장 ASCII(8비트 256 문자)로 구분된다.

1비트 패리티 비트를 사용하여 통신용에서 오류를 검출만 할 수 있다.

3개의 Zone 비트와 4개의 Digit 비트로 하나의 문자를 표현한다.

ASCII 코드만으로는 각 나라별 언어를 표현할 수 없으므로 이럴 때는 유니코드를 사용해야 한다.

 

2. 해밍 코드(Hamming Code)

 

2비트의 에러 검출 및 1비트의 에러 교정 비트를 포함한다.

컴퓨터 스스로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하는 오류 수정 코드이다.
보통 에러 검출 코드들이 에러를 검출할 뿐 교정은 불가능한 것을 개선한 것으로, 대부분의 마이크로칩 디바이스에 채택되어 신뢰도를 높이는 데 사용된다.

 

1. 시분할 처리 시스템(Time Sharing System)

한대의 시스템을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하는 방식

 

2.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Multi-Programming System)

한대의 CPU(중앙처리장치)로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처리

 

3. 듀플렉스 시스템(Duplex System)

두 개의 동일한 시스템을 구동시켜 한쪽을 삭제함으로써 한번 더 예비로 사용하는 방법

 

4. 다중 처리 시스템(Multi-Processing System)

한대의 컴퓨터에 여러 개의 CPU(중앙처리장치)를 설치하여 프로그램을 처리

 

1. 프로그램 카운터

다음번에 실행할 명령어의 번지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2. 명령 레지스터

현재 실행 중인 명령을 기억한다.

 

3. 부호기

해독된 명령에 따라 각 장치로 보낼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4.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

기억장치에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번지를 기억한다.

 

1. CPS(Character Per Second)

초당 인쇄되는 문자수(인쇄 속도 단위)

 

2. BPS(Bits Per Second)

초당 전송되는 비트(전송 속도 단위)

 

3. PPM(Paper Per Minute)

분당 인쇄되는 페이지 수(인쇄 속도 단위)

 

4. DPI(Dots Per Inch)

1인치에 표시할 수 있는 점의 수(해상도 단위, 출력물 해상도)

 

BIOS는 메인보드 상에 위치한 EPROM, 혹은 플래시 메모리 칩에 저장되어 있다.

컴퓨터의 전원을 켜면 자동으로 가장 먼저 기동 되며, 기본 입출력 장치나 메모리 등 하드웨어의 이상 유무를 검사한다.

CMOS 셋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날짜와 시간, 부팅 순서 등 일부 BIOS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중간 형태인 펌웨어

 

CMOS에서 설정 가능한 항목 : 시스템의 날짜와 시간, 하드디스크 타입, 부팅 순서, 칩셋, 전원 관리, PnP, 시스템 암호, Anti-Virus 등

 

번외로 4번 내용의 가성 메모리의 페이징 파일 크기 설정은 제어판-시스템 및 보안-시스템-고급 시스템 설정-고급-설정에서 가능하다.

 

시스템 구성

 

1. Windows가 제대로 시작되지 않는 문제를 식별하도록 도와주는 고급 도구이다.

2. 진단 모드 선택에서 '선택 모드'는 기본장치 및 서비스로만 Windows를 시작하여 발생된 문제를 진단하는데 유용하다.

3. 한 번에 하나씩 공용 서비스 및 시작 프로그램을 끈 상태에서 Windows를 재시작한 후 다시 켤 때 문제가 발생하면 해당 서비스가 문제의 원인임을 알 수 있다.

4. 부팅 옵션 중 '안정 부팅'의 '최소 설치'를 선택하면 중요한 시스템 서비스만 실행되는 안전 모드로 Windows를 시작하며, 네트워킹은 사용할 수 없다.

 

1. 정상 모드

모든 장치 드라이버 및 서비스 로드

2. 진단 모드

기본 장치 및 서비스만 로드

3. 선택 모드

시스템 서비스 로드, 시작 항목 로드, 원래 부팅 구성 사용

 

폴더 옵션

2. 숨김 파일이나 폴더의 표시 여부를 지정할 수 있다.

3. 폴더에서 시스템 파일을 검색할 때 색인의 사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4. 알려진 파일 형식의 파일 확장명을 숨기도록 설정할 수 있다.

 

파일 탐색기-보기-창

1. 탐색 창, 미리 보기 창, 세부 정보 창이 표시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백업과 복원

1. 특정한 날짜나 시간에 주기적으로 백업이 되도록 예약할 수 있다.

2. 백업에서 사용되는 파일의 확장자는. bkf이다.

3. 백업된 파일을 복원할 때 복원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알려진 시스템 폴더

윈도우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파일이 있는 폴더

 

알려진 프로그램 파일

프로그램이 설치될 때 레지스트리에 프로그램의 일부로 정의된 파일

 

원본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 저장장치에 만들어 두는 장치

 

백업과 복원

 

- 특정 날짜와 시간에 백업이 시작되도록 백업 주기를 미리 예약할 수 있다. 정기적으로 예약된 백업 시간에 컴퓨터가 종료, 절전, 최대 절전 모드면 다음 백업 때까지 기다림

 

- 자동선택 방식(기본 Windows 폴더, 바탕 화면 및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 백업)과 직접 선택 방식(폴더, 라이브러리, 드라이브를 선택하여 백업, 알려진 시스템 폴더(Windows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파일이 들어 있는 폴더)의 파일과 알려진 프로그램 파일(프로그램이 설치될 때 레지스트리에 프로그램의 일부로 정의된 파일)은 선택한 폴더에 있더라도 백업되지 않음

 

- 기간 또는 시간 주기로 백업 시 백업 파일 생성

 

- 시스템 오류 시 오류 원인 날짜 및 시간을 파악하여 원하는 백업 파일 복원

 

- 백업 파일이 있는 경우 오류 해결 시까지 하나씩 복원하여 실행함

 

- 백업한 개별 파일, 파일 그룹 또는 전체 파일을 복원할 수 있다.

 

- Windows에서 백업에 사용되는 파일의 확장자는. bkf이다.

 

- 백업 파일을 복원할 경우 복원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반응형

댓글